원하는 업별 카테고리를 누르시면, 이동됩니다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카드뉴스] 제7회 월경 말하기 캠페인 : 장애여성 월경 경험 인터뷰 1편 - 시각장애여성의 월경

2023-05-23
조회수 1351

1p.  제7회 월경 말하기 캠페인  <다 다른 몸, 그리고 월경>    장애여성 월경 경험 인터뷰 1편 : 시각장애여성의 월경    #모두를 위한 월경권  #월경 말하기 캠페인



1p.

제7회 월경 말하기 캠페인

<다 다른 몸, 그리고 월경>


장애여성 월경 경험 인터뷰 1편 : 시각장애여성의 월경


#모두를 위한 월경권

#월경 말하기 캠페인



2p.  [시각장애 여성이 월경 경험]  드러나지 않는 시각장애여성의 월경 경험    "월경이 언제 시작하는지, 언제 끝나는지 확인하는 게  불편할 때가 많아요. 속옷이 검은색이거나 할 경우에는  월경혈이 묻어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워요."    "성교육센터에서 무료 교육과 점자 교재 배포를 권했는데  한 맹학교가 거절했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장애에 대한  인식 만큼이나 장애여성에 대한 편견도 존재해요.  장애여성이 성에 대해서 알면 안된다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2p.

[시각장애 여성이 월경 경험]

드러나지 않는 시각장애여성의 월경 경험


"월경이 언제 시작하는지, 언제 끝나는지 확인하는 게

불편할 때가 많아요. 속옷이 검은색이거나 할 경우에는

월경혈이 묻어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워요."


"성교육센터에서 무료 교육과 점자 교재 배포를 권했는데

한 맹학교가 거절했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장애에 대한

인식 만큼이나 장애여성에 대한 편견도 존재해요.

장애여성이 성에 대해서 알면 안된다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3p. 

[점자 표시 없는 생리대]

생리대 구매할 때 점자 표시 본 적 있나요?


"평소에는 온라인으로 생리대를 구매해요.

갑자기 월경이 시작될 때는 가까운 편의점에서

점원에게 봐달라고 부탁해요"




4p. 

[점자 표시 없는 생리대]

2024년 7월, 의약품 및 의약외품 점자표시 의무화 시행

시중에서 구매가 어려운 점자 표시된 생리대

- 여성환경연대, 2023 생리대 가격&광고 모니터링 -


(기사 이미지)  의약품 점자 표시는 2021년 7월 개정된 약사법에 따라 2024년 7월부터 안전상비의약품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의약품에 대해 의무화될 예정이다. 시,청각 장애인의 의약품 오복용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상비약 포장지마다 점자 또는 음성,수어변환용 코드가 의무화된다.

출처 : 이로운넷(2023.5.15), "2024년 7월 안전상비의약품에 대한 점자 표시 의무화"



5p.  [다양한 존재를 드러내기]  시각장애인 점자 사용율 9.6%  (국립국어원, 2021년 점자 출판물 실태 조사)    "한국은 점자 표시가 잘 안되어 있어서 점자를 아는 사람들이 10% 미만이라고 해요.  점자를 배워도 쓸 데가 없으니까 배우지 않는거죠.  생리대에도 점자가 표시될 만큼 많은 곳에  점자가 표시되어 있으면 배우는 사람도 늘어날 거예요."    "어디에나 점자가 표시되어 있다는 건 그만큼 일상에서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구나 하는 사실을 알게 되는거예요.  '손가락으로 글자를 읽는 사람들이 있구나' 하고  무의식에서 알게 되는 거죠."


5p.

[다양한 존재를 드러내기]

시각장애인 점자 사용율 9.6%

(국립국어원, 2021년 점자 출판물 실태 조사)


"한국은 점자 표시가 잘 안되어 있어서 점자를 아는 사람들이 10% 미만이라고 해요.

점자를 배워도 쓸 데가 없으니까 배우지 않는거죠.

생리대에도 점자가 표시될 만큼 많은 곳에

점자가 표시되어 있으면 배우는 사람도 늘어날 거예요."


"어디에나 점자가 표시되어 있다는 건 그만큼 일상에서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구나 하는 사실을 알게 되는거예요.

'손가락으로 글자를 읽는 사람들이 있구나' 하고

무의식에서 알게 되는 거죠."


6p.  [다양한 존재를 드러내기]  모두를 위한 월경권  일상의 변화가 필요하다    "장애여성에 대한 편견은 여전히 있어요.  장애여성이 여성이라고 생각하기보다 '무성적 존재'라고 생각해요.  장애여성은 임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요.  장애 학교가 월경 교육을 거부하는 것도 그런 맥락이죠.  그런만큼 우리 주변에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    ---------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할 권리가 필요하다  여성환경연대의 활동에 힘을 보태어 주세요!    회원가입 bit.ly/join_kwen


6p.

[다양한 존재를 드러내기]

모두를 위한 월경권

일상의 변화가 필요하다


"장애여성에 대한 편견은 여전히 있어요.

장애여성이 여성이라고 생각하기보다 '무성적 존재'라고 생각해요.

장애여성은 임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요.

장애 학교가 월경 교육을 거부하는 것도 그런 맥락이죠.

그런만큼 우리 주변에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


---------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할 권리가 필요하다

여성환경연대의 활동에 힘을 보태어 주세요!


회원가입 bit.ly/join_kwen



오마이뉴스에서 관련 기고글 읽기 : https://omn.kr/24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