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토론회
_일시: 2015년 10월 28일 (수) 오후 3~5시
_장소: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 교육장 ‘주다’
‘여성환경연대’와 ‘일과건강’, 그리고 서울시의회 한명희 의원실이 공동으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서울 시내 학교 6곳을 돌아다니며 돌봄교실, 강당, 체육관, 교실, 학습준비물실의 건축자재와 문구류 등에서 중금속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어린이용품과 문구류에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 결과를 공유하고 대책을 논의하여 미래세대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토론회
_일시: 2015년 10월 28일 (수) 오후 3~5시
_장소: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 교육장 ‘주다’
‘여성환경연대’와 ‘일과건강’, 그리고 서울시의회 한명희 의원실이 공동으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서울 시내 학교 6곳을 돌아다니며 돌봄교실, 강당, 체육관, 교실, 학습준비물실의 건축자재와 문구류 등에서 중금속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어린이용품과 문구류에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 결과를 공유하고 대책을 논의하여 미래세대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1. ‘학교’ 구석구석 살피다!
서울시내 6개 학교 공간 내 중금속 실태조사 및 학교 세척제 성분 조사 결과 발표 고금숙 (여성환경연대 환경건강팀장)2. 쓰지마! 위험해!
문구류, 체육용품, 학습준비물 등 어린이 사용제품 유해물질 조사 결과와 제안 발표 박수미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사무국장)3. 이렇게 해봐요!
건강한 학교 공간을 만들기 위한 법적, 제도적 제안 정남순 (환경법률센터 부소장, 변호사) 토론 1. 건강한 학교 공간을 만들기 위한 서울시의회의 노력한명희 서울시의원 (새정치민주연합)
2. 서울시의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제도오차환 주무관 (서울특별시 생활보건과)
3. 건강한 어린이 환경공간을 만들기 위한 환경부의 정책김만영 단장 (환경산업기술원 환경인증평가단)
4. 학교 공간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대한 의견 (가제)고영갑 사무관 (서울시 교육청 교육재정과)
5. 건강한 학교 만들기를 시도하며 부딪혔던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조성옥 위원장 (군산 회현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