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시 : 2023년 9월 5일(화) 오전 10시
■ 장소 :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
■ 공동 주최 : 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연합
■ 내용
9월 5일 오전 10시, 자원순환의날(9/6)을 앞두고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작년 전국시행 예정이었던 1회용컵보증금제가 유예되고 2곳 시행으로 축소된 이후, 환경부는 전국시행에 대한 로드맵 없이 제도를 방치하고 있습니다. 이에 얼마전 감사원은 자원재활용법에 근거해 1회용컵보증금제가 전국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여성환경연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은 8월 한 달간 전국 전역에서 시민들과 함께 하는 컵줍깅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1회용컵보증금제 전국시행을 촉구하기 위해 컵줍깅 캠페인에 함께해주신 시민 270여명의 목소리를 담아 결과를 발표하고 퍼포먼스를 진행했습니다. 환경부의 무책임한 제도 운영이 길거리 가득한 일회용컵 쓰레기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문제 삼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한반도에 일회용컵을 쏟아붓고 있는 퍼포먼스를 기획했습니다.
이하 여성환경연대 르다 활동가의 발언문을 공유합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가 조속히 전국시행, 전면시행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1회용컵보증금제가 시행된 지 8개월이 지났습니다. 세종과 제주 단 2곳에서만 반쪽짜리 보증금제가 시행되는 동안 지난 여름 내내 1회용컵들이 거리에 쏟아져나왔습니다. 환경부는 ‘푸른 하늘의 날’을 기념하고 ‘바이바이 플라스틱’을 외치면서, 방치되는 플라스틱 1회용컵들은 끝끝내 외면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국민의힘 권명호 의원은 1회용컵보증금제 시행 여부를 지자체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형평성 논란을 없애고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겠다고 말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같은 말만 반복하면서 제도 시행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형평성 문제를 해소하고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세종과 제주 지역 참여 매장에서 이야기하듯이, 일부 지역 일부 매장에서만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형평성에 어긋난 것입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전면시행 해야합니다.
시민과 소상공인에게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은 제도가 아닌, 제도를 일관되게 추진하지 않는 환경부입니다. 며칠 전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국제협약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화진 장관은 말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 기후변화 등 당면한 문제들은 지금 당장 나서지 않는다면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며, “우리나라의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말입니다. 말뿐인 선언 대신, 소상공인을 위하는 척 대신, 말씀하신 그대로 이행하기를 바랍니다.
거리에서 밟히고 부서진 플라스틱 컵들이 우리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그리고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기후위기가 가속되는 것을 시민들은 원하지 않습니다. 무더운 여름날 길거리에 나와 버려진 컵들을 줍고 제대로된 제도 시행을 요구한 기후시민들의 목소리를, 환경부는 귀기울여 듣기를 바랍니다.
<컵줍깅 참여 단체 및 개인>
*2022년 10월과 2023년 8월, 많은 단체와 시민분들이 컵줍깅 캠페인에 참여해주셨습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촉구를 위해 뜻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2022
가천대학교 ESG워너비, 귤현동분해정원, 기후정의광장기획단, 녹색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부산녹색연합, 서울관광재단 MICE뷰로팀, 여성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전남녹색연합, 종로중구 녹색당, 환경운동연합
2023
강동기후위기비상행동, 광주 마을발전소, 광진주민연대, 귤현동분해정원, 녹색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도봉노원디딤돌아이쿱생협, 목포환경운동연합, 봄봄, 불교환경연대, 새벽지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 생태전환을 꿈꾸는 교사의 시선, 성북기후위기비상행동, 소비자기후행동서울지부, 소비자기후행동전북지부, 수원환경운동센터, 순천YMCA, 숲을환경모임, 쓰줍인서울, 여성환경연대, 울산환경운동연합, 위드미플로깅, 유락종합사회복지관, 인천유유기지 청년지원팀, 청년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CJ제일제당IMC2팀, 강O호, 장O연, 조O민
■ 일시 : 2023년 9월 5일(화) 오전 10시
■ 장소 :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
■ 공동 주최 : 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연합
■ 내용
전국 컵줍깅 캠페인 취지와 결과 발표
발언 1. 환경운동연합
발언 2. 여성환경연대
발언 3. 녹색연합
퍼포먼스: 환경부의 제도 시행 유예로 전국에 여전히 재활용 되지 않는 일회용컵들이 사용되고 있음.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일회용컵을 전국에 붓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함.
9월 5일 오전 10시, 자원순환의날(9/6)을 앞두고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작년 전국시행 예정이었던 1회용컵보증금제가 유예되고 2곳 시행으로 축소된 이후, 환경부는 전국시행에 대한 로드맵 없이 제도를 방치하고 있습니다. 이에 얼마전 감사원은 자원재활용법에 근거해 1회용컵보증금제가 전국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여성환경연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은 8월 한 달간 전국 전역에서 시민들과 함께 하는 컵줍깅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1회용컵보증금제 전국시행을 촉구하기 위해 컵줍깅 캠페인에 함께해주신 시민 270여명의 목소리를 담아 결과를 발표하고 퍼포먼스를 진행했습니다. 환경부의 무책임한 제도 운영이 길거리 가득한 일회용컵 쓰레기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문제 삼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한반도에 일회용컵을 쏟아붓고 있는 퍼포먼스를 기획했습니다.
이하 여성환경연대 르다 활동가의 발언문을 공유합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가 조속히 전국시행, 전면시행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1회용컵보증금제가 시행된 지 8개월이 지났습니다. 세종과 제주 단 2곳에서만 반쪽짜리 보증금제가 시행되는 동안 지난 여름 내내 1회용컵들이 거리에 쏟아져나왔습니다. 환경부는 ‘푸른 하늘의 날’을 기념하고 ‘바이바이 플라스틱’을 외치면서, 방치되는 플라스틱 1회용컵들은 끝끝내 외면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국민의힘 권명호 의원은 1회용컵보증금제 시행 여부를 지자체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형평성 논란을 없애고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겠다고 말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같은 말만 반복하면서 제도 시행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형평성 문제를 해소하고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세종과 제주 지역 참여 매장에서 이야기하듯이, 일부 지역 일부 매장에서만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형평성에 어긋난 것입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전면시행 해야합니다.
시민과 소상공인에게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은 제도가 아닌, 제도를 일관되게 추진하지 않는 환경부입니다. 며칠 전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국제협약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화진 장관은 말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 기후변화 등 당면한 문제들은 지금 당장 나서지 않는다면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며, “우리나라의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말입니다. 말뿐인 선언 대신, 소상공인을 위하는 척 대신, 말씀하신 그대로 이행하기를 바랍니다.
거리에서 밟히고 부서진 플라스틱 컵들이 우리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그리고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기후위기가 가속되는 것을 시민들은 원하지 않습니다. 무더운 여름날 길거리에 나와 버려진 컵들을 줍고 제대로된 제도 시행을 요구한 기후시민들의 목소리를, 환경부는 귀기울여 듣기를 바랍니다.
<컵줍깅 참여 단체 및 개인>
*2022년 10월과 2023년 8월, 많은 단체와 시민분들이 컵줍깅 캠페인에 참여해주셨습니다.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촉구를 위해 뜻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2022
가천대학교 ESG워너비, 귤현동분해정원, 기후정의광장기획단, 녹색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부산녹색연합, 서울관광재단 MICE뷰로팀, 여성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전남녹색연합, 종로중구 녹색당, 환경운동연합
2023
강동기후위기비상행동, 광주 마을발전소, 광진주민연대, 귤현동분해정원, 녹색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도봉노원디딤돌아이쿱생협, 목포환경운동연합, 봄봄, 불교환경연대, 새벽지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 생태전환을 꿈꾸는 교사의 시선, 성북기후위기비상행동, 소비자기후행동서울지부, 소비자기후행동전북지부, 수원환경운동센터, 순천YMCA, 숲을환경모임, 쓰줍인서울, 여성환경연대, 울산환경운동연합, 위드미플로깅, 유락종합사회복지관, 인천유유기지 청년지원팀, 청년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CJ제일제당IMC2팀, 강O호, 장O연, 조O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