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우울을 용감하게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이야기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 지우소 2기 참가자, 여성환경연대, 2022
강사_하리타 linktr.ee/haritamoonrider
기후위기로 무너져가는 세계에 슬픔을 느끼는 여성들이 전하는 위로를 담은 에세이 #지우소 가 발행되었습니다.
“당신의 아픔이, 당신의 우울함이 우리를 연결되게 할 겁니다.”
✍이 책은 여성환경연대 ‘기후 우울을 마주하는 글쓰기 워크숍’ 2기 참가자의 과제물을 PDF 책자로 정리했습니다.
워크숍은 기후위기로 인해 우울감을 겪는 2030 여성들이 글쓰기를 통해 생태적 삶을 지속할 힘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용기와 위로, 생태적 삶을 지속할 동기 부여를 잔뜩 받을 수 있는 책 #지우소.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 하셔서 무료 다운로드 하세요!💜













-----
여성환경연대 활동가 사라와 숨비의 글이 도착했습니다.💌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지구와의 연결감을 통해 치유를 경험한 여성들의 에세이.
다정하고 섬세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가 여러분에게 닿기를 바랍니다.



-----
어둠에 익숙해지면 당신의 희미한 불빛을 비로소 볼 수 있을까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내가 속했던 대안학교 공동체는 절대 완벽하고 안전하지만은 않았지만
따스한 둥지였다. 그런데 그 둥지를 뛰쳐나온 스무 살에 바로 알아버렸다.
그렇다. 나는 사회가 규정한 ‘정상성’에 속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지구를 지키고 싶어 하는 채식주의 지향 페미니스트 여성의 삶’은
사실 잘 이해받지 못하는 일의 연속이자 고달프고 고독한 투쟁이었다.
from. 구구 <알 깨고 나가기>
파괴되는 환경과 기후 변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어떻게든 쓰레기를
줄이자”와 “비건을 실천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막상 실천하려고 보니 이 둘이
쉬워 보이지만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 (...)
왜 누군가는 기후 변화로 실제 삶을 잃고 있는데, 누군가는 지구온난화는
허상이라고 기후 위기를 부정하고 있을까. 가시처럼 화가 돋아났다.
from. 검은 <엉킨 나의 OOO>
세상의 모든 신이자
이름 없는 나의 친구들,
부디 불빛을 흔들어주십시오
울부짖어주십시오
from. 숨비 <세상의 모든 신에게>
이제껏 해온 것처럼, 내일도 우리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세계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도 관계도 모든 것이 다 그렇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부터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우주 밖 저 먼 곳까지 말이다.
(...) 채식을 하고, 고기 소비를 줄이고,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는 것.
아주 사소한 일에서부터 환경을 생각하고 최소한의 소비로 쓰레기를 만들지 말자고 생각하는 것.
작게 생각되는 부분이라도 최소한의 노력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from. 송지영 <책과 함께하는 미래>
실재하는 삶에 대한 인식은 타인과 다른 생명체의 고통을 이해하고 건강하고
자유로운 삶에 대한 지향으로 변화했다.
공장식 축산업이 사라지고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으로 불리던 동물들은 생명의
순리대로 죽음을 맞이하는 삶을 되찾았다.
from. 히워트 <수용 가능한 미래>
기후 우울이 깊어질 때 나에게 위안과 희망을 주는 사람들은 자신과 지구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인지한 사람들이다. 민감한 연결감을 가진
사람들이 이 민감함을 가지고, 아파하고 분노하고 무력감에 빠지면서도
포기하지 않기 위해서는 모험을 떠나는 만화주인공처럼 동료가 필요하다.
'너 내 동료가 돼라'라고 외치는 명랑함과 복닥복닥한 친구들이 필요하다.
from. 모아 <너 내 동료가 돼라>
기후위기를 먼 미래가 아닌 일상에서 느끼고, '지금, 여기' 우리의 언어로
사람들과 문제의식을 나누고,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는 것.
그것이 기후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겠죠.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사라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해>
워크숍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기후우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산불이나 통영 앞바다에서 사라져가는 고기 떼를 떠올렸던 저였지만,
이제는 글쓰기 워크숍에서 기후우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함께 고민을 나누던
참여자 한 분 한 분의 얼굴이 떠오를 것 같습니다. 참여해주신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일상에서 기후우울과 부딪히고 경험하고 있는 당신께,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숨비 <여성들의 가장 안전하고 따스한 글쓰기 공간>
기후우울을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따스한 위로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
기후 우울을 용감하게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이야기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 지우소 2기 참가자, 여성환경연대, 2022
강사_하리타 linktr.ee/haritamoonrider
기후위기로 무너져가는 세계에 슬픔을 느끼는 여성들이 전하는 위로를 담은 에세이 #지우소 가 발행되었습니다.
“당신의 아픔이, 당신의 우울함이 우리를 연결되게 할 겁니다.”
✍이 책은 여성환경연대 ‘기후 우울을 마주하는 글쓰기 워크숍’ 2기 참가자의 과제물을 PDF 책자로 정리했습니다.
워크숍은 기후위기로 인해 우울감을 겪는 2030 여성들이 글쓰기를 통해 생태적 삶을 지속할 힘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용기와 위로, 생태적 삶을 지속할 동기 부여를 잔뜩 받을 수 있는 책 #지우소.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 하셔서 무료 다운로드 하세요!💜
-----
여성환경연대 활동가 사라와 숨비의 글이 도착했습니다.💌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지구와의 연결감을 통해 치유를 경험한 여성들의 에세이.

다정하고 섬세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가 여러분에게 닿기를 바랍니다.
-----
어둠에 익숙해지면 당신의 희미한 불빛을 비로소 볼 수 있을까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내가 속했던 대안학교 공동체는 절대 완벽하고 안전하지만은 않았지만
따스한 둥지였다. 그런데 그 둥지를 뛰쳐나온 스무 살에 바로 알아버렸다.
그렇다. 나는 사회가 규정한 ‘정상성’에 속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지구를 지키고 싶어 하는 채식주의 지향 페미니스트 여성의 삶’은
사실 잘 이해받지 못하는 일의 연속이자 고달프고 고독한 투쟁이었다.
from. 구구 <알 깨고 나가기>
파괴되는 환경과 기후 변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어떻게든 쓰레기를
줄이자”와 “비건을 실천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막상 실천하려고 보니 이 둘이
쉬워 보이지만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 (...)
왜 누군가는 기후 변화로 실제 삶을 잃고 있는데, 누군가는 지구온난화는
허상이라고 기후 위기를 부정하고 있을까. 가시처럼 화가 돋아났다.
from. 검은 <엉킨 나의 OOO>
세상의 모든 신이자
이름 없는 나의 친구들,
부디 불빛을 흔들어주십시오
울부짖어주십시오
from. 숨비 <세상의 모든 신에게>
이제껏 해온 것처럼, 내일도 우리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세계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도 관계도 모든 것이 다 그렇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부터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우주 밖 저 먼 곳까지 말이다.
(...) 채식을 하고, 고기 소비를 줄이고,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는 것.
아주 사소한 일에서부터 환경을 생각하고 최소한의 소비로 쓰레기를 만들지 말자고 생각하는 것.
작게 생각되는 부분이라도 최소한의 노력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from. 송지영 <책과 함께하는 미래>
실재하는 삶에 대한 인식은 타인과 다른 생명체의 고통을 이해하고 건강하고
자유로운 삶에 대한 지향으로 변화했다.
공장식 축산업이 사라지고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으로 불리던 동물들은 생명의
순리대로 죽음을 맞이하는 삶을 되찾았다.
from. 히워트 <수용 가능한 미래>
기후 우울이 깊어질 때 나에게 위안과 희망을 주는 사람들은 자신과 지구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인지한 사람들이다. 민감한 연결감을 가진
사람들이 이 민감함을 가지고, 아파하고 분노하고 무력감에 빠지면서도
포기하지 않기 위해서는 모험을 떠나는 만화주인공처럼 동료가 필요하다.
'너 내 동료가 돼라'라고 외치는 명랑함과 복닥복닥한 친구들이 필요하다.
from. 모아 <너 내 동료가 돼라>
기후위기를 먼 미래가 아닌 일상에서 느끼고, '지금, 여기' 우리의 언어로
사람들과 문제의식을 나누고,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는 것.
그것이 기후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겠죠.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사라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해>
워크숍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기후우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산불이나 통영 앞바다에서 사라져가는 고기 떼를 떠올렸던 저였지만,
이제는 글쓰기 워크숍에서 기후우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함께 고민을 나누던
참여자 한 분 한 분의 얼굴이 떠오를 것 같습니다. 참여해주신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일상에서 기후우울과 부딪히고 경험하고 있는 당신께,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숨비 <여성들의 가장 안전하고 따스한 글쓰기 공간>
기후우울을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따스한 위로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