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업별 카테고리를 누르시면, 이동됩니다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기후우울 에세이집]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 2기

2022-07-01
조회수 2691

기후 우울을 용감하게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이야기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 지우소 2기 참가자, 여성환경연대, 2022

강사_하리타 linktr.ee/haritamoonrider


기후위기로 무너져가는 세계에 슬픔을 느끼는 여성들이 전하는 위로를 담은 에세이 #지우소 가 발행되었습니다.

“당신의 아픔이, 당신의 우울함이 우리를 연결되게 할 겁니다.”


✍이 책은 여성환경연대 ‘기후 우울을 마주하는 글쓰기 워크숍’ 2기 참가자의 과제물을 PDF 책자로 정리했습니다.

워크숍은 기후위기로 인해 우울감을 겪는 2030 여성들이 글쓰기를 통해 생태적 삶을 지속할 힘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용기와 위로, 생태적 삶을 지속할 동기 부여를 잔뜩 받을 수 있는 책 #지우소.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  하셔서 무료 다운로드 하세요!💜


-----

여성환경연대 활동가 사라와 숨비의 글이 도착했습니다.💌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지구와의 연결감을 통해 치유를 경험한 여성들의 에세이.
다정하고 섬세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가 여러분에게 닿기를 바랍니다.



-----

어둠에 익숙해지면 당신의 희미한 불빛을 비로소 볼 수 있을까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내가 속했던 대안학교 공동체는 절대 완벽하고 안전하지만은 않았지만 

따스한 둥지였다. 그런데 그 둥지를 뛰쳐나온 스무 살에 바로 알아버렸다. 

그렇다. 나는 사회가 규정한 ‘정상성’에 속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지구를 지키고 싶어 하는 채식주의 지향 페미니스트 여성의 삶’은 

사실 잘 이해받지 못하는 일의 연속이자 고달프고 고독한 투쟁이었다. 

from. 구구 <알 깨고 나가기>


파괴되는 환경과 기후 변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어떻게든 쓰레기를

줄이자”와 “비건을 실천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막상 실천하려고 보니 이 둘이

쉬워 보이지만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 (...)

왜 누군가는 기후 변화로 실제 삶을 잃고 있는데, 누군가는 지구온난화는

허상이라고 기후 위기를 부정하고 있을까. 가시처럼 화가 돋아났다.

from. 검은 <엉킨 나의 OOO>


세상의 모든 신이자

이름 없는 나의 친구들,

부디 불빛을 흔들어주십시오

울부짖어주십시오

from. 숨비 <세상의 모든 신에게>


이제껏 해온 것처럼, 내일도 우리는

2022. 7. 1. 너의 영원한 벗, 여성환경연대


세계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도 관계도 모든 것이 다 그렇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부터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우주 밖 저 먼 곳까지 말이다. 

(...) 채식을 하고, 고기 소비를 줄이고,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는 것.

아주 사소한 일에서부터 환경을 생각하고 최소한의 소비로 쓰레기를 만들지 말자고 생각하는 것. 

작게 생각되는 부분이라도 최소한의 노력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from. 송지영 <책과 함께하는 미래>


실재하는 삶에 대한 인식은 타인과 다른 생명체의 고통을 이해하고 건강하고

자유로운 삶에 대한 지향으로 변화했다. 

공장식 축산업이 사라지고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으로 불리던 동물들은 생명의

순리대로 죽음을 맞이하는 삶을 되찾았다.

from. 히워트 <수용 가능한 미래>


기후 우울이 깊어질 때 나에게 위안과 희망을 주는 사람들은 자신과 지구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인지한 사람들이다. 민감한 연결감을 가진

사람들이 이 민감함을 가지고, 아파하고 분노하고 무력감에 빠지면서도 

포기하지 않기 위해서는 모험을 떠나는 만화주인공처럼 동료가 필요하다.

'너 내 동료가 돼라'라고 외치는 명랑함과 복닥복닥한 친구들이 필요하다.

from. 모아 <너 내 동료가 돼라>


기후위기를 먼 미래가 아닌 일상에서 느끼고, '지금, 여기' 우리의 언어로 

사람들과 문제의식을 나누고,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는 것. 

그것이 기후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겠죠.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울에 빠지지 않도록,

사라 <그러니 우린 손을 잡아야 해>


워크숍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기후우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산불이나 통영 앞바다에서 사라져가는 고기 떼를 떠올렸던 저였지만, 

이제는 글쓰기 워크숍에서 기후우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함께 고민을 나누던 

참여자 한 분 한 분의 얼굴이 떠오를 것 같습니다. 참여해주신 여러분께 감사합니다. 

일상에서 기후우울과 부딪히고 경험하고 있는 당신께, 

병들고 아픈 세상의 아픔을 온몸과 마음으로 공감하고 있는 당신이 

동시대에 함께 해주셔서 그 자체로 커다란 위안이자 삶의 용기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숨비 <여성들의 가장 안전하고 따스한 글쓰기 공간>


기후우울을 마주하는 2030 여성들의 따스한 위로

지구를 사랑하는 우리의 마음이 소중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