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여성환경연대의 입장문

관리자
2020-07-22
조회수 1004

중앙일보를 비롯한 일부 언론은
여성환경연대와 마르쉐에 대한 왜곡된 보도와
배우자의 인권침해를 즉각 중단하라!

어제(7/21) 중앙일보는 통일부 장관 인사 청문회와 관련하여 ‘이인영 부인, 보조금 9억 중 7억 박원순 재임 때 받았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이는 후보자 검증을 빌미로 시민 단체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힌다.

첫째,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주민 참여형 사업과 다양한 협치 사업을 통해 민관거버넌스를 확대해왔고 그로 인해 각 부처의 민간 협력사업 또한 확대되었다. 따라서 서울시의 이러한 정책적 변화를 무시한 채 사업비만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다분히 악의적이다. 중앙일보는 여성환경연대와 2017년 독립한 마르쉐가 지난 20년 동안 수행한 서울시 각 부처의 공모 사업비를 의도적으로 합산하여 상당한 금액을 지원받은 것처럼 과장하고 있다. 또 심사 과정과 절차는 확인하지도 않은 채 부당한 특혜 의혹이 있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서울시 비영리단체 지원 사업이나 협치 사업은 외부 인사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선정하며, 이를 매도하는 것은 시민 단체와 서울시정에 대한 무지와 명예 훼손에 해당한다.

둘째, 사단법인 마르쉐는 2012년부터 8년 동안 농부시장 ‘마르쉐@’를 운영해왔다. 도시와 농촌,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마르쉐 모델은 전국 농부시장의 모범이 되어 각 지자체가 벤치마킹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중앙일보 역시 이에 대해 기획보도 한 바 있다.

한 번 열리면 1만 명 몰린다, 대화하는 시장 ‘마르쉐@’
중앙일보 2019. 10. 13.

언론이 중복 수급 의혹을 제기하는 농림부 사업은 소규모 채소 시장으로 목적과 운영 방식, 장소가 완전히 다른 사업이다. 이러한 의혹은 8년 동안 150여 팀의 출점자와 시민이 함께 만든 농부시장의 성과와 의미에 대해 매우 악의적인 보도이며, 중복 지원이 불가능한 시민 단체의 사업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고 있다.

셋째,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배우자 이보은 씨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으로 일했을 뿐, 공동대표를 지낸 바 없으니 사실 무근이다. 이보은 씨는 박원순 시장 이전부터 이미 서울시 녹색위원회와 환경부 환경보건위원을 역임한 베테랑 시민 단체 활동가이다. 최근의 언론 보도는 이보은 씨의 전문성과 경력을 무시한 채 정치인 배우자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특혜를 받아 활동하는 ‘부인’으로 폄하하고 있다. 언론의 악의적인 의도와 편협한 젠더 감수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나아가 이는 여성운동에 대한 지독한 폭력이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 청문회는 정책 검증을 통해 후보자가 향후 한국의 평화를 정착시키기에 적합한 인물인지, 그에 합당한 철학과 정책 내용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판단에 주력해야 한다. 후보자에 대한 검증 작업을 배우자 또는 관련 시민 단체에 대한 흠집 내기와 혼동하는 것 같은 작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이는 시민단체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훼손하고, 후보자를 검증할 능력이 없음을 스스로 시인하는 것이다. 중앙일보 등은 시민사회와 여성 활동가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과 비난을 멈추고 사죄하기 바란다.

우리는 요구한다.

- 청문회 후보자의 배우자가 활동한 단체에 대한 악의적 왜곡 보도를 중단하라.
- 시민운동가 이보은 씨의 독립적 활동을 청문회 후보자의 혜택으로 간주하여 폄하하는 것을 중단하라.
- 여성환경연대와 마르쉐의 적법한 활동에 대해 명예를 훼손한 점을 사죄하라.
- 향후 추측성 왜곡 보도를 계속할 경우 해당 언론사에 대한 소송도 불사할 것임을 명심하라.

2020년 7월 22일 여성환경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