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강의답게 이번 시간에는 에코페미니즘의 전반적인 것을 다루었는데요, 크게 4가지의 흐름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못 오신 분들을 위해 김신효정 강사님이 각 주제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었는지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어요!
I. 한국사회의 간략한 흐름 – 청년빈곤, 여성빈곤에코페미니즘을 공부하면서 계속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
나는 어떤 세상/사회에서 살고 싶은가?’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은 한 문장으로 말하면 ‘죽도록 일하다가 죽거나 운이 나쁘면 죽는 나라’이다. 문제는 이러한 청년 빈곤과 여성 빈곤(우리나라는 성별임금격차가 OECD 1위인 곳이다)의 원인이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로 인해 모두 ‘개인의 책임’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Ⅱ. 에코페미니즘이란?이러한 현재 사회에서 우리가 에코페미니즘을 외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에코페미니즘이 뭐길래? 에코페미니즘도 다양한 n개의 정의가 있다.- ‘페미니즘에서 더 나아가 자연, 생태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 ‘젠더로서의 남성과 여성, 중심부와 주변부 등의 관계에 중점을 두던 페미니즘 논의에서 비인간생명체, 자연과의 관계로 논의를 확장하는 것’.- ‘가부장제, 자본주의, 발전주의, 계급, 화폐경제 등 불평등을 유지시켜온 패러다임과 지배체제에 대한 전복’.페미니즘은 그 동안 타자화 되어왔던 여성, 인종, 장애인, 동성애자를 비롯한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왔다. 하지만 이는 매우 다양한 페미니즘의 공통분모일 뿐,
페미니즘은 관점으로서 하나가 아니다. 난 이런 페미니즘의 미완성과 다양성이 정말 좋다. 에코페미니즘은 기존의 ‘여성은 집과 부엌, 출산을 버리고 남성과 동일한 노동을 하고 동일한 임금을 요구해야 한다’라는 주장을 비판하며 ‘자본 중심의 발전과 개발의 흐름 속에서
젠더와 관계없이 임금노동에 매여 시간에 쫓기는 삶을 살고 있다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다.
Ⅲ. 에코페미니즘이 갖는 이미지
안녕하세요, 아르네입니다!7월 말에 여성환경연대에서 주최한 북콘서트를 다녀왔었는데요(블로그에 후기가 있어요~), 그 때 에코페미니즘의 새로운 시각에 눈을 뜨고 '더 알아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감사하게도 저 같은 사람들을 위해!!9월 2일에 <2016 에코페미니즘학교 : 그래도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가 개강했답니다!!
2016 에코페미니즘학교의 포스터와 기본 정보
9월 2일 금요일, 영등포 하자센터에 모인 30명 남짓한 학생들
에코페미니즘 학교의 문을 연 첫 번째 강의는 김신효정 여성학 강사님의 <에코페미니즘 이론과 쟁점 : 불평등과 혐오> 입니다. 강사님은 간단한 질문 하나로 강의를 시작했는데요, “나는 페미니스트인가?”라는 질문과 “나는 에코페미니스트인가?”라는 짧은 질문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첫 번째 질문에는 1/3가량 손을 들었으나 두 번째 질문에는 아무도 손을 들지 않았습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에코페미니스트는 뭔가 더 특별해야 하고, 페미니즘과는 다른 어떤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일지도 모르겠습니다.첫 번째 강의답게 이번 시간에는 에코페미니즘의 전반적인 것을 다루었는데요, 크게 4가지의 흐름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못 오신 분들을 위해 김신효정 강사님이 각 주제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었는지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어요!
I. 한국사회의 간략한 흐름 – 청년빈곤, 여성빈곤에코페미니즘을 공부하면서 계속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나는 어떤 세상/사회에서 살고 싶은가?’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은 한 문장으로 말하면 ‘죽도록 일하다가 죽거나 운이 나쁘면 죽는 나라’이다. 문제는 이러한 청년 빈곤과 여성 빈곤(우리나라는 성별임금격차가 OECD 1위인 곳이다)의 원인이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로 인해 모두 ‘개인의 책임’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Ⅱ. 에코페미니즘이란?이러한 현재 사회에서 우리가 에코페미니즘을 외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에코페미니즘이 뭐길래? 에코페미니즘도 다양한 n개의 정의가 있다.- ‘페미니즘에서 더 나아가 자연, 생태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 ‘젠더로서의 남성과 여성, 중심부와 주변부 등의 관계에 중점을 두던 페미니즘 논의에서 비인간생명체, 자연과의 관계로 논의를 확장하는 것’.- ‘가부장제, 자본주의, 발전주의, 계급, 화폐경제 등 불평등을 유지시켜온 패러다임과 지배체제에 대한 전복’.페미니즘은 그 동안 타자화 되어왔던 여성, 인종, 장애인, 동성애자를 비롯한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왔다. 하지만 이는 매우 다양한 페미니즘의 공통분모일 뿐, 페미니즘은 관점으로서 하나가 아니다. 난 이런 페미니즘의 미완성과 다양성이 정말 좋다. 에코페미니즘은 기존의 ‘여성은 집과 부엌, 출산을 버리고 남성과 동일한 노동을 하고 동일한 임금을 요구해야 한다’라는 주장을 비판하며 ‘자본 중심의 발전과 개발의 흐름 속에서 젠더와 관계없이 임금노동에 매여 시간에 쫓기는 삶을 살고 있다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다.Ⅲ. 에코페미니즘이 갖는 이미지'에코페미니즘'하면, 뭔가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살아야 할 것 같고 다소 촌스러운 이미지를 떠올리기도 한다. 제주도의 이효리처럼은 살고 싶지만, 시골 할머니처럼 살기는 싫은 뭔가 모순적인 이미지의 에코페미니즘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강사님은 이효리와 할머니 사이에 있는 여러가지 모순적인 차이 (연령, 계급, 노동의 목적 등)를 모두 포용하는 것이 에코페미니즘 그 자체라고 하셨다. (맞게 이해한....거겠죠?ㅎ)
Ⅳ. 에코페미니즘과 발전에코페미니즘은 착취의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자연이라는 가치를 전복하고, 돌봄노동을 집안에 국한시키지 않고 공적영역으로 확대시키는 것을 주장한다. 또한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기존의 화폐중심의 발전 패러다임을 벗어나 환경적으로도 지속가능한 페미니즘을 모색하고자 한다.더 많은 돈 대신 더 나은 삶을 위한 실험과 실천의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에코페미니즘의 목표이다. 강사님께선 인도의 환경활동가이자 '에코페미니즘' 책의 공동 저자인 반다나 시바의 인상 깊었던 말을 들려주었다. “우리가 대기업이나 큰 사회구조를 전복시킬 순 없다. 그저 우리는 우리의 공간을 확장하고 그 공간들을 연결해나가면 된다”.이번 에코페미니즘 학교의 이름처럼, 그래도 우리의 삶은 계속됩니다.페미니즘은 더 이상 투쟁과 저항의, 서로 뺏고 쟁취하는 '제로섬 게임'이 아닙니다.우리는 행복하고 즐겁게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고 싶습니다.
-2016 에코페미니즘학교 김신효정 님의 강의 中다음주의 2번째 강의후기도 기대해주세요 >-<[출처] [여성환경연대] 2016에코페미니즘학교 -1강 <에코페미니즘 이론과 쟁점 : 불평등과 혐오>|작성자 아르네
에코페미니즘학교 서포터즈 아르네님의 에코페미니즘학교 1강 후기입니다.학교에 못 오셔서 아쉬웠던 분, 당일 함께 있었지만 정리가 필요한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현장 분위기를 잘 전달해주신 아르네님께 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