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시는 사업의 게시물만 보고 싶으시다면, 위에 카테고리를 클릭해 보세요.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여성/건강[카드뉴스] "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될까?" │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
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될까? 🤔
[카드뉴스 |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
폐기물을 분류하는 재활용 선별원,
유령처럼 사회에서 지워진 여성노동자 👻
시민들이 분리배출한 재활용 쓰레기는 선별원의 수작업으로 재활용 가능/불가능 자원으로 선별됩니다.
그런데 선별원은 '단순 노무직'으로 분류돼, 폐기물 처리업 노동자를 다루는 통계에 잡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성비, 연령 등 기초적인 통계 산출조차 어려운 실정입니다.
여성환경연대가 진행한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에 따르면 선별원 중 여성의 비율은 94.8%에 달합니다.
게다가 선별원 10명 중 9명은 업무중 찔리거나 베인적이 있다고 답한데 반해, 오염물 전용 집게 미지급휼은 85.7%에 달합니다.
지금까지 보이지 않았던 우리 사회의 그림자 노동 👤
모든 폐기물 처리 과정에 안전 기준이 마련되기 까지,
여성환경연대는 자원순환 노동이 안전해지도록 활동해나가겠습니다.
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될까? 🤔
[카드뉴스 |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
폐기물을 분류하는 재활용 선별원,
유령처럼 사회에서 지워진 여성노동자 👻
시민들이 분리배출한 재활용 쓰레기는 선별원의 수작업으로 재활용 가능/불가능 자원으로 선별됩니다.
그런데 선별원은 '단순 노무직'으로 분류돼, 폐기물 처리업 노동자를 다루는 통계에 잡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성비, 연령 등 기초적인 통계 산출조차 어려운 실정입니다.
여성환경연대가 진행한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에 따르면 선별원 중 여성의 비율은 94.8%에 달합니다.
게다가 선별원 10명 중 9명은 업무중 찔리거나 베인적이 있다고 답한데 반해, 오염물 전용 집게 미지급휼은 85.7%에 달합니다.
지금까지 보이지 않았던 우리 사회의 그림자 노동 👤
모든 폐기물 처리 과정에 안전 기준이 마련되기 까지,
여성환경연대는 자원순환 노동이 안전해지도록 활동해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