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내 몸이 증거다> 상영 및 GV가 6월 16일, 마로니에 공원 다목적홀에서 진행됩니다.
- 상영 일시 : 24.06.16 (일) 15:40 - 장소 : 서울인권영화제 다목적홀 - 프로그램 : <내 몸이 증거다> 상영 및 관객과의 대화 - 티켓 구매 : 서울인권영화제는 티켓이 무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
[🎬 작품 줄거리]
월경은 여전히 숨겨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는 생리대로 돈을 번다. 안전하지 않은 생리대로도 말이다. 한편 월경하는 몸이 겪는 고통은 지워진다. 유해화학물질 생리대 피해자들과 여성환경연대는 긴 싸움을 시작한다.
[🎬 프로그램 노트] 월경은 나와 내 몸이 처음 마주하기 전부터 터부시된다. 학교에서는 “깔끔하게 생리대 처리하는 법”은 알려줘도 월경 시 겪게 되는 오만 가지 아프고 귀찮은 일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는다. 생리대 광고에서는 흰 원피스를 입은 여성이 구름 위를 뛰논다. 피 한 방울 없는 산뜻함이다.
영화에서 짚 듯 생리대 산업은 “불황을 모르는 산업”이다. 월경하는 수많은 몸의 ‘생활필수품’이기 때문이다. 월경하는 여성은 반드시 생리대를 ‘소비’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이 있어도, 그로 인해 몸이 아파도, 이를 발견하고 조사를 요구해도 쉽지 않다. 생리대 제조 기업은 여성소비자를 주요 행위자로 여기지 않고, 국가는 이를 조사할 역량도, 제대로 된 안전 기준도, 피해 발생 시 대책도 없다. 월경하는 몸은 ‘표준’이 된 적 없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과 얼굴을 가진 피해자”들, 이들과 함께하는 여성환경연대는 “내 몸이 증거다”라고 외치며 맞서 싸운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증언하고 연대하며 지난한 싸움 끝에 잠시 승리가 찾아온다. 영화에서 활동가는 말한다. 모두를 위한 월경권은 월경에서 출발해 모든 존재의 건강권으로 이어진다고.
현재까지도 정부는 생리대 안전성제조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할 무언가를 자본의 논리로 충분한 검증 없이 생산하는 기업은 너무 많다. 지난 봄에는 같은 제조사의 사료를 먹은 고양이 수십 마리가 정체불명의 급성질환으로 사망했지만 납득할 만한 조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표준’이 아니라서, ‘중요’한 소비자가 아니라서,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몸의 불안과 고통은 삭제된다.
하지만 우리의 몸들은 말하기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다른 몸들을 만나고 연대하며 끊임 없이 저항할 것이다.
제26회 서울인권영화제 공식 초청을 축하드립니다. 🎉🎉🎉
다큐멘터리 <내 몸이 증거다> 상영 및 GV가 6월 16일, 마로니에 공원 다목적홀에서 진행됩니다.
- 상영 일시 : 24.06.16 (일) 15:40
- 장소 : 서울인권영화제 다목적홀
- 프로그램 : <내 몸이 증거다> 상영 및 관객과의 대화
- 티켓 구매 : 서울인권영화제는 티켓이 무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
[🎬 작품 줄거리]
월경은 여전히 숨겨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는 생리대로 돈을 번다. 안전하지 않은 생리대로도 말이다. 한편 월경하는 몸이 겪는 고통은 지워진다. 유해화학물질 생리대 피해자들과 여성환경연대는 긴 싸움을 시작한다.
[🎬 프로그램 노트]
월경은 나와 내 몸이 처음 마주하기 전부터 터부시된다. 학교에서는 “깔끔하게 생리대 처리하는 법”은 알려줘도 월경 시 겪게 되는 오만 가지 아프고 귀찮은 일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는다. 생리대 광고에서는 흰 원피스를 입은 여성이 구름 위를 뛰논다. 피 한 방울 없는 산뜻함이다.
영화에서 짚 듯 생리대 산업은 “불황을 모르는 산업”이다. 월경하는 수많은 몸의 ‘생활필수품’이기 때문이다. 월경하는 여성은 반드시 생리대를 ‘소비’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이 있어도, 그로 인해 몸이 아파도, 이를 발견하고 조사를 요구해도 쉽지 않다. 생리대 제조 기업은 여성소비자를 주요 행위자로 여기지 않고, 국가는 이를 조사할 역량도, 제대로 된 안전 기준도, 피해 발생 시 대책도 없다. 월경하는 몸은 ‘표준’이 된 적 없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과 얼굴을 가진 피해자”들, 이들과 함께하는 여성환경연대는 “내 몸이 증거다”라고 외치며 맞서 싸운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증언하고 연대하며 지난한 싸움 끝에 잠시 승리가 찾아온다. 영화에서 활동가는 말한다. 모두를 위한 월경권은 월경에서 출발해 모든 존재의 건강권으로 이어진다고.
현재까지도 정부는 생리대 안전성제조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할 무언가를 자본의 논리로 충분한 검증 없이 생산하는 기업은 너무 많다. 지난 봄에는 같은 제조사의 사료를 먹은 고양이 수십 마리가 정체불명의 급성질환으로 사망했지만 납득할 만한 조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표준’이 아니라서, ‘중요’한 소비자가 아니라서,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몸의 불안과 고통은 삭제된다.
하지만 우리의 몸들은 말하기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다른 몸들을 만나고 연대하며 끊임 없이 저항할 것이다.
–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