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시는 사업의 게시물만 보고 싶으시다면,    위에 카테고리를 클릭해 보세요.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월경[카드뉴스] 일회용 생리대가 안전하다는 거짓말

2022-12-06
조회수 1910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국회 긴급 토론회 요약

일회용 생리대가 안전하다는 거짓말 -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보고서를 통해 일회용 생리대가 생리 부작용과 상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공개된 후 ...

시민들은 식약처의 후속 대처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책은 어떻게 마련 하겠다는거죠?"

여성환경연대는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그 이후를 제안하기 위한  국회 긴급토론회를 마련하였습니다.    

토론회에서는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의 배경, 방법 등 전반적인 내용과  조사 결과와 후속 대책을 다루었습니다.

[국회 긴급토론회  모습]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 요약 정리]

1.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각 군의 노출 수준이 증가할 때

생리통, 생리혈색변화, 어지럼증, 여드름, 외음부 짓무름, 외음부 통증 및 트러블 발생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음

2. 일회용 생리대는 면생리대 사용자보다 생리통 발생 위험 높음

일회용 생리대는 생리컵 사용자보다의 모든 생리관련 증상 발생 위험 높음

* 모든 생리관련 증상 : 생리통, 생리혈색 변화, 외음부 트러블, 외음부 짓무름, 어지럼증, 여드름, 두통 등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소장은 일회용 생리대 문제가 <가습기 살균제 참사>와 닮았다고 지적 하였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와 일회용 생리대> 공통점

1. 제품 사용중인 소비자의 제품안전 의문제기에 무조건 안전하다고 우겼다.

2. 역학조사 결과에 제조사와 제품명을 공개하지 않았다.

3. 정부 책임부처간 서로 책임 떠넘기기가 반복되었다.

4. 정부와 기업은 피해신고조차 제대로 받지 않았다.

5. 기업친화적인 정부 기관들

6. 실종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 보호


일회용 생리대와 가습기는 생황용품의 안전 문제이고,

국민 다수가 소비자이자 피해자라는 점,

환경시민단체의 주도로 지속적인 문제제기 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합니다.

출처: [자료집] 국회 긴급 토론회,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그 이후를 제안하다, 여성환경연대, 2022


드디어 생리대와 부작용의 상관성을 인정한 정부!

이제는 안전한 생리대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제대로 된 후속 대응을 마련하길 바랍니다

여성환경연대의 요구 사항

▶복합적인 위해성 평가기준 마련 

▶노출·독성연구 시행 

▶중장기 대책 수립 

▶건강피해 신고 상시운영 

▶소비자를 위한 안전성 정보 제공

  

국회 긴급토론회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 

방법 1. 여성환경연대 홈페이지,  자료실

방법 2. 링크 주소  bit.ly/2022_safe_menses


안전하고 자유로운, 

모두를 위한 월경권 보장을 위해 

여성환경연대가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부탁드립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