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시는 사업의 게시물만 보고 싶으시다면,    위에 카테고리를 클릭해 보세요.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월경[카드뉴스] 정부 최초, 생리대와 부작용 상관성 인정

2022-11-10
조회수 1719


정부 최초, 생리대와 부작용 상관성 인정

"생리대 화학물질 독성 때문 맞다... 1년 반 뒤에야 낸 공식 보고서"

"일회용 생리대, 생리통·가려움증 유발 가능성" 충격 보고서"

"왜 그런가 했더니···"생리통·가려움증, 일회용 생리대 영향"

1년 반 동안 기다리고 기다리던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가 드디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 1 :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63739.html

출처 2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CH1VTD65

출처 3 : https://www.mbn.co.kr/news/society/4868977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

일회용 생리대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생리통, 생리혈색 변화, 외음부 트러블 등으로 이어질 관련 가능성이 확인되었어요.

생리대 사용시 생리 증상 단위 %


생리혈색 변화 20.3%, 

생리통 18.9%, 

여드름 15.3%, 

외음부 트러블(가려움증, 짓무름, 뾰루지, 통증 등) 14.9%, 

두통 13.4%, 

어지럼증 11.6%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

생리통 발생 위험 

일회용 생리대 > 면생리대 (그림으로 표시)


“2017년부터 생리대 내 함유된 화학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 결과 위해한 수준은 아니며, 일회용 생리대를 계속 사용해도 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일회용 생리대 사용과 그에 따른 불편간 인과관계를 확인한 것은 아니나 관련 가능성을 보였다.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결과-


관련 가능성은 있지만, 인과관계는 없으니 안전하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죠?


출처 : 관계부처합동 보도자료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연구 결과 공개 2022.10.21

식약처와 환경부가 1년 반 동안 결과를 발표하지 않은 이유

그.건.바.로

생리대와 부작용의 인과관계를 못 찾아서 일까요?

아니면 생리와 부작요의 인과 관계를 

은폐, 왜곡하기 위해서 일까요?


생리대가 1970년대부터 사용되었는데 

아직까지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고

관리가 허술했음이 드러났습니다.

여전히 여성들은 생리대를 사용하며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고 그 원인을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일회용 생리대 안전]

Q. 앞으로 식약처와 환경부는 뭘 해야할까요?

1 복합적인 위해성 평가기준 마련

2 노출· 독성 연구 시행

3 지속적인 생리대 건강영향 모니터링 및 중장기 문제 해결책 강구 

Q. 일회용 생리대만 문제일까요?

월경 혐오 문화, 비싼 생리대 가격 등 월경권 보장을 위한 성평등 여성 건강 교육과 성평등한 문화 조성도 해야합니다.


기다리던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평가 연구 결과가 

공개되었으니 이제 끝난 일일까요?


일회용 생리대 부작용의 상관 가능성이 확인된 지금,

일회용 생리대를 안전하게 생산/관리하고

월경권 보장을 적극적으로 요구할 때입니다.  


#월경하는 몸은 어디에나 있다

#안전하고 자유로운 월경권 보장하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