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시는 사업의 게시물만 보고 싶으시다면,    위에 카테고리를 클릭해 보세요.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유해물질/플라스틱[후기] 1123부산플라스틱행진 기획팀 활동가가 전하는 뒷이야기, 잔디밭에 대형 생리대 출몰?!

2024-12-14
조회수 125

여성건강 위협하는 플라스틱, 이제 그만!

11월 23일, 부산 벡스코 인근에서 플라스틱 시민 행진이 개최되었습니다.


여성환경연대는 협약에 대응하는 16개 시민단체들의 연대체, 플뿌리연대의 행진기획팀에 르다 활동가(😎)가 속해 행진을 준비했는데요. 

행진의 소상한 이야기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뒷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행진을 뜨겁게 달군(?) 일회용생리대 코스튬 이야기도 함께!😉


▲  행진 참여자들이 생산 감축을 요구하고 있다 @플뿌리연대


어쩌다 갑자기 부산에서 이런 행진을?

이번 국제플라스틱협약은 파리협약 이후로 가장 주목받는 국제협약이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이 전세계적으로 이렇게 심각해지는 와중에, 기존의 플라스틱 논의가 대부분 폐기물 관리에 머무는데 비해 이번 협약을 통해 석유 추출과 같은 생산 단계부터 규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그런 중요한 협약을! 무려 마지막 6차 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는데도 한국 사회는 협약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관심도 부족했어요. 그래서 플뿌리연대는 협약을 더 많은 시민들에게 알리고 한국 정부와 부산을 찾은 대표단들이 강력한 협약을 완성할 수 있도록 시민의 목소리를 모으기 위해 행진을 기획 되었답니다.

우리는 이미 매년 9월마다 대규모 기후정의행진을 열고 있지요. 그렇지만 서울도 아닌 부산에서 과연 얼마나 많은 시민들을 모이게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렇게 고민 끝에 설정된 부산플라스틱행진의 목표는 바로바로... 1천명 이었습니다! 기후행진을 생각하면 소박한 인원이겠지만 부산 5차 회의 이전에 케냐나 캐나다에서 열린 행진에서 모인 인원이 2-3백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사실 제법 거창한 목표였는데요.

고작해야 6명 정도의 실무 인원으로 준비했던 행진이라 저마다 해야할 일들이 말도 못하게 많았던 것이 슬픈 뒷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래도 그렇게 고생해 준비한 만큼... 무려 1500명에 달하는 국내외 시민과 활동가들이 참여했고 행진이 정말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어요! 많은 화제가 되었을 뿐 아니라 참여자들도 즐거웠다는 후기를 잔뜩 남겨주고 가셨지요.

▲  행진이 시작되기 전 참여자들이 사전 공연과 집회를 즐기고있다 @플뿌리연대

행진을 준비하면서...

행진을 준비하면서 사전에 가장 신경 썼던 건, 듣기만 해도 어려운 협약에 대해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시민들이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을까 였어요.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협약과 행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노력했지요. 릴스 같은 컨텐츠들도 다양하게 활용했어요.

그리고 행진 현장에서는 무엇보다 재미있는 행진이 될 수 있도록 행진의 요소들을 많이 고려했는데요. 사실 플라스틱 문제 하면 우리는 전형적인 이미지들을 떠올리기 쉬워요. 알바트로스라던가, 빨대 꽂힌 거북이 라던가. 물론 그것들도 너무 중요하지만 우리에게는 훨씬 더 많은 저마다의 이야기가 필요했어요. 

시민들이 저마다 한땀한땀 만든 다양한 플라스틱 코스튬을 두 팔 벌려! 환영했답니다. 그리고 기대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많은 시민들이 재미있는 코스튬들을 많이 활용해주셨어요!

현장의 다양했던 코스튬들을 행진 현장을 찾아주셨던 많은 기자 분들이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주셨으니 기사를 참고해주세요.


잔디밭에 대형 생리대가!

▲  여성환경연대 여여 활동가와 일회용 생리대 코스튬

그리고 여성환경연대는 일회용 생리대 코스튬을 만들어 행진에 참여했습니다! 잔디밭에 등장한 대형 생리대에 모두가 주목! 정말정말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고 함께 사진을 찍고싶어 하고 인터뷰도 많이 실어가셨답니다.

▲  여성환경연대 행진팀이 행진에 참여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

플라스틱은 여성의 문제입니다. 물론 남성들에게도 영향을 미치지만, 일회용생리대를 비롯해 일상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플라스틱과 화학물질에 여성들은 더 많이, 쉽게 노출되고, 그 플라스틱과 화학물질은 여성의 몸에 더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치지요.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몸 속에서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작동하게 되는데 최근 태아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했어요.

그리고 지금처럼 만연한 플라스틱 오염은 개인들의 실천만으로 해결할 수 없고 반드시 근본적이고 제도적인 변화가 뒷받침되어야 하지요. 그래서 우리는! 일회용생리대를 내걸고 생산 감축을 함께 요구했어요!


▲  플라스틱 행진이 진행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


▲  행진이 끝나고 기념사진 까지! @여성환경연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