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달과나무] 2022 에코페미니즘 기초강좌


기후위기라는 어두운 현실 속에서
우리는 어떠한 희망의 길을 찾을 수 있을까요?
오염되고 파괴되는 세상에서도 언제나 새 길을 만들어왔던 에코페미니즘의 깊은 통찰의 세계로 함께 떠나봅시다!
.
.
주    최 :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일    시 : 10.6~10.27, 매주 목요일 19:30(실시간 화상강의) 총 4강
방    법 : 줌 실시간 화상강의
참가비 : 4만원(강의별 선택 수강 불가, 여성환경연대 회원 3만원)
입    금:  KEB하나은행 158-890033-82904 (사단법인 여성환경연대)

신    청: https://bit.ly/moontree_basic22 



<강의 상세>
1강(10월 6일) : 에코페미니즘의 철학 - 비인간존재와의 공존을 위한 에코페미니즘의 이론적 기초 
강사 : 장우주(에코페미니즘 연구자) 
내용: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 지속되는 코로나 19, 생물종들의 멸종위기 한가운데서, 페미니즘의 관점, 약자의 관점, 비인간존재의 관점을 견지하는 생태적 전환의 길은 무엇일까?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길을 거부하면서도, 비인간존재와 공진화해가는 행성을 어떻게 존속해갈 수 있을까? 이 강좌는 페미니즘과 생태주의 접합의 배경과 역사, 가부장제 이원론 비판으로부터 비인간 존재와의 공존을 모색하는 에코페미니즘의 이론적 기초를 ‘돌봄’, ‘관계적 자아’등의 개념과 쟁점을 중심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참고 교재 :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라: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행복혁명』, (여성환경연대 기획, 2016. 시금치), 『페미니즘 교차하는 관점들』,(로즈마리 퍼트넘 통, 티나 페르난디스 보츠 지음) 8장 에코페미니즘
.
.
2강(10월 13일) : 에코페미니즘운동의 역사 : 죽임과 파괴에 저항하며 새 길을 만들다
강사: 이윤숙(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부소장)
내용: 『침묵의 봄』 발간과 전세계적인 환경오염에 저항하는 운동과 페미니즘 운동이 확산되고 80년대 그린햄코먼 시위와 유럽의 반군사기지 운동 등 반핵평화운동과 칩코운동, 그린벨트운동 등 제3세계 민중여성들의 확산되는 가운데 탄생하고 발전해왔고, 한국에서도 80년대 이후 여성환경운동으로, 그리고 전세계 기후정의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는 에코페미니즘의 실천 역사와 그 함의를 살펴본다.
참고 교재: 『에코페미니즘』(반다나 시바, 마리아 미즈 지음)
.
.
3강(10월 20일) : 에코페미니즘과 노동 : 돌봄과 자급경제를 성찰하기
강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내용 : 다급하게 쏟아지는 기후재난 비극들과 해결되지 않는 삶의 불안정성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새로운 길을 만들어갈까? 돌봄사회는 기후위기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쓸모’와 ‘효율성’ 중심의 이기적인 성장중독 사회에서 탈주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에코페미니스트가 제안하는 자급적 관점과 경제적 대안을 지금 여기에서 실천하며 자본주의 시스템에 작은 균열과 틈새 만들기를 고민해 본다. 
참고 교재 :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마리아 미즈, 베로니카 벤홀트–톰젠 지음),  『돌봄선언』(더케어컬렉티브), 『타자를 위한 경제는 있다』(J.K 깁슨 그레이엄 외)
.
.
4강(10월 27일) : 에코페미니즘과 ‘생태시민되기’
강사: 김신효정(에코페미니즘 연구자)
내용 : 기후위기와 전염병을 비롯한 일상의 재난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나와 우리는 어떠한 생태적, 정치적 실천과 변화가 필요하며, 어떠한 방향으로 삶을 재구성하고 사회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인간과 생태의 관계성 및 시민성 논의를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으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교재 :  『다시 쓰는 여성학』 ‘13장 기후위기 시대, 페미니즘과 생태를 사유하기’(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기획),  『이렇게 하루하루 살다보면 세상도 바뀌겠지』 (여성환경연대 기획)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여성환경연대는 에코페미니즘 관점으로 담론 생산과 확산을 위해 2020년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를 설립하였습니다.

발자취


2019년 여성환경연대 20주년, 연구소 설치 결정

2020년 

02. 여성환경연대 부설 연구센터 설립 사업계획 통과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출범

04. 운영위원회 구성 및 2020 운영계획 수립

      에코페니스트 인터뷰 진행

05-06. [기후위기와 에코페미니즘] 포럼 개최

06. 에코페미니스트 인터뷰 보고서 <에코페미니스트 현장을 가다> 발간

07. 제1차 연구위원 전체 회의 개최

10-11. [에코페미니즘 읽기] 강좌 진행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박혜영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강지연          가배울 이사장

강희영          숲과나눔 재단 협동처장

김상애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김신효정      여성학 연구자

김양희          젠더앤리더쉽 대표, 여성환경연대 前 공동대표

김연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前 사무총장

김은희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연구위원

김정열          비아캄페시나 동남·동아시아 대표

김지은          경희대학교 영미어문화학과 박사 수료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김혜련          작가

김혜정          시민방사능 감시센터 운영위원장

나희덕          시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노고운          전남대 문화고고인류학과 교수

심아정          독립연구활동가

안숙영          계명대 정책대학원 여성학과/사회학과 교수

오나경          나다정책연구소 소장 

요    이          예술가 / 언러닝스페이스 대표        

유서연          독립인문학자

윤앨리스       코리아타임즈 기자, UC버클리 인문지리학과 박사과정

윤정숙          녹색연합 공동대표

윤혜린          윤혜린철학글짓기의집 대표

이도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미숙          영문학 박사, 몸춤공간 미류 대표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이유진          한겨레신문사 선임기자

이윤숙          이화여대 사회학과 박사수료

이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

장우주             삼성꿈장학재단

장이정규       생태심리연구소 대표

정은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원

정은혜          생태예술가, 에코오롯 대표

조   향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최정은           여성환경연대 이사, 복지법인 윙 대표

최유미           독립 연구자

홍자경           서울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석사과정

황선애          독문학 박사, 번역가, 초록상상 前 대표

황   윤           영화감독

황은정          나다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황주영           철학 박사, 서울시립대 강사

황희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