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는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세요. 타 브라우저에서는 다운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후기] 북토크, 나희덕의 시와 물질
여성환경연대는 에코페미니즘 관점으로 담론 생산과 확산을 위해 2020년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를 설립하였습니다.
발자취
2019년 여성환경연대 20주년, 연구소 설치 결정
2020년
02. 여성환경연대 부설 연구센터 설립 사업계획 통과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출범
04. 운영위원회 구성 및 2020 운영계획 수립
에코페니스트 인터뷰 진행
05-06. [기후위기와 에코페미니즘] 포럼 개최
06. 에코페미니스트 인터뷰 보고서 <에코페미니스트 현장을 가다> 발간
07. 제1차 연구위원 전체 회의 개최
10-11. [에코페미니즘 읽기] 강좌 진행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박혜영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강지연 가배울 이사장
강희영 숲과나눔 재단 협동처장
김상애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김신효정 여성학 연구자
김양희 젠더앤리더쉽 대표, 여성환경연대 前 공동대표
김연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前 사무총장
김은희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연구위원
김정열 비아캄페시나 동남·동아시아 대표
김지은 경희대학교 영미어문화학과 박사 수료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김혜련 작가
김혜정 시민방사능 감시센터 운영위원장
나희덕 시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노고운 전남대 문화고고인류학과 교수
심아정 독립연구활동가
안숙영 계명대 정책대학원 여성학과/사회학과 교수
오나경 나다정책연구소 소장
요 이 예술가 / 언러닝스페이스 대표
유서연 독립인문학자
윤앨리스 코리아타임즈 기자, UC버클리 인문지리학과 박사과정
윤정숙 녹색연합 공동대표
윤혜린 윤혜린철학글짓기의집 대표
이도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미숙 영문학 박사, 몸춤공간 미류 대표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이유진 한겨레신문사 선임기자
이윤숙 이화여대 사회학과 박사수료
이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
장우주 삼성꿈장학재단
장이정규 생태심리연구소 대표
정은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원
정은혜 생태예술가, 에코오롯 대표
조 향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최정은 여성환경연대 이사, 복지법인 윙 대표
최유미 독립 연구자
홍자경 서울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석사과정
황선애 독문학 박사, 번역가, 초록상상 前 대표
황 윤 영화감독
황은정 나다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황주영 철학 박사, 서울시립대 강사
황희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수료
풀은 말한다
그곳에 균열이 있음을
콘크리트와 보도블록 아래 흙이 있음을
열악한 포장지가 찢기고 있음을
풀이 솟거나 번지거나 휘거나 엉키는 동안
도로의 균열은 더 깊어지고, 가로등 불빛아래서도
풀은 자란다
나희덕 [시와 물질] 밤과 풀 중
지난 5월 30일 목요일 저녁 7시 플랫폼달에서 나희덕의 시와 물질 북토크를 마쳤습니다.
여성환경연대 공동대표이자 달과나무 연구센터의 연구위원이신 나희덕 선생님의 시집 [시와 물질]을 함께 낭송하고 시를 쓰게 된 계기와 타자의 삶을 들여오는 시를 쓰는 이유에 대해서 북토크에서 나눴습니다. 황선애 선생님의 사회로 시인님 소개와 참여자의 시 낭송, 질의응답의 시간이 주욱 이어져 즐거운 마무리가 되었었네요.
시를 쓴다는 것, 예술을 함에 있어서의 태도로 타자의 존재와 이야기를 나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하고 있다고 얘기해주셨습니다.
시를 쓰는 시인이지만 자신은 이과생에 가까운 나희덕 선생님은 어렸을 적부터 곤충과 자연 세계의 호기심이 왕성했다고 하셨는데요, 시집의 사물과 비인간동물의 존재가 내뿜는 힘이 느껴지시나요-?
시집을 통째로 읽을 때 시의 배열과 순서를 고려해서 짠 구성이니 한 번에 읽어보는 시도로 시집을 만나보세요~
그럼 연구센터의 다음 활동과 프로그램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