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신청] 달달 세미나 시즌 2: 애나 칭, 『세계 끝의 버섯』 읽기

[달달 세미나 시즌 2] 애나 칭, 『세계 끝의 버섯』 읽기 


“문명의 제 1원리를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진실된 이야기를 할 때가 왔다.” 애나 칭은 송이버섯과 자본주의적 시장의 공급사슬을 탐사하면서,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그의 이야기는 세계를 하나의 그림으로 아우르는 거창한 이론이 아니라, “진실되면서도 기막히게 멋진 이야기”입니다. 학문의 세계에서 이야기는 엄밀하지 않은 것으로 격하되곤 하지요. 그러나 삶의 소중한 지혜들은 언제나 할머니들이 풀어놓는 이야기보따리로 계승되어 왔고, 그 이야기에서 인간이 유일한 주인공이었던 적은 거의 없습니다. 애나 칭은 이야기하기를 학문의 영역으로 올려놓은 것 같습니다. 그 이야기의 주인공은 버섯이고, 주요 키워드는 “불확정성”, “불안정성”, “오염으로서의 협력”입니다. 이제 이런 이야기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세미나 도서: 애나 칭, 『세계 끝의 버섯』, 노고운 옮김, 현실문화, 2023


세미나 튜터: 최유미


세미나 참여비: 2만원


신    청 : 신청하기 (클릭)


입    금:  KEB하나은행 158-890033-82904 (사단법인 여성환경연대)


주    최: 에코페미니즘 연구센터 달과나무 x 플랫폼달


문    의:  02-722-7944,  ecofemcenter@ecofem.or.kr




세미나 일정


1월 16일  1부 남은 것은 무엇인가


1월 23일  2부 진보 이후에: 구제 축적


2월 6일   3부 교란에서 시작되다:의도치 않은 디자인


2월 13일  4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반드시 책을 읽어오셔야 하고, 한 부분씩 발제를 맡습니다. 발제자가 아닌 분들도 질문거리, 생각해볼 것들에 관한 짧은 쪽글을 써와서 함께 나눕니다. 

여성환경연대는 에코페미니즘 관점으로 담론 생산과 확산을 위해 2020년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를 설립하였습니다.

발자취


2019년 여성환경연대 20주년, 연구소 설치 결정

2020년 

02. 여성환경연대 부설 연구센터 설립 사업계획 통과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출범

04. 운영위원회 구성 및 2020 운영계획 수립

      에코페니스트 인터뷰 진행

05-06. [기후위기와 에코페미니즘] 포럼 개최

06. 에코페미니스트 인터뷰 보고서 <에코페미니스트 현장을 가다> 발간

07. 제1차 연구위원 전체 회의 개최

10-11. [에코페미니즘 읽기] 강좌 진행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김은희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김신효정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부소장

강지연          가배울

강희영          숲과나눔 재단 협동처장

김상애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김양희          젠더앤리더쉽 대표, 여성환경연대 前 공동대표

김연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前 사무총장

김정열          비아캄페시나 동남·동아시아 대표

김지은          경희대학교 영미어문화학과 박사 수료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김혜련          작가

김혜정          시민방사능 감시센터 운영위원장

나희덕          시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노고운          전남대 문화고고인류학과 교수

박혜영          인하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심아정          독립연구활동가

안숙영          계명대 정책대학원 여성학과/사회학과 교수

오나경          나다정책연구소 소장

유서연          독립인문학자

윤앨리스       코리아타임즈 기자, UC버클리 인문지리학과 박사과정

윤정숙          녹색연합 공동대표

윤혜린          윤혜린철학글짓기의집 대표

이도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미숙          영문학 박사, 몸춤공간 미류 대표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이유진          한겨레신문사 선임기자

이윤숙          이화여대 사회학과 박사수료

이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

장우주             삼성꿈장학재단

장이정규       생태심리연구소 대표

정은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원

정은혜          생태예술가, 에코오롯 대표

조   향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최정은           여성환경연대 이사, 복지법인 윙 대표

최유미           독립 연구자

홍자경           서울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석사과정

황선애          독문학 박사, 번역가, 초록상상 前 대표

황   윤           영화감독

황은정          나다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황주영           철학 박사, 서울시립대 강사

황희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