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생리대의 안전성과 가격 안정화 정책을 위한 토론회]
생리대 가격 부담·안전에 대한 불안 여전해,
가격 안정화, 안전 정보 표기 요구
- 생리대 구매자 80.6% ”비싸다” ... 93.2%가 생리대 가격 안정화 요구해
- “생리대 가격 부담느낀 10대, ”보건실·화장실에 비치된 생리대 이용했다“ 28.9%
생리대 불편 1순위, ”생리대 성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30.3%
○ 일시 : 2023년 10월 18일 (수) 오후 2시 ○ 장소 : 온라인, 줌 ○ 내용 :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및 향후 과제 모색 ○ 공동주최 : 여성환경연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프로그램 : ▶ 개회 [사회] 안현진 (여성환경연대 여성건강팀 팀장)
▶ 발표 및 질의응답 [발표]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및 분석 / 서정희(여성환경연대 여성건강팀 활동가)
▶ 토론 [좌장]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토론1] 구로구 여성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 정책과 과제 / 조미순(더,초록 대표) [토론2] 시혜가 아닌 권리로서 청소년 월경권 톺아보기 / 양지혜(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토론3] ‘월경용품 가격안정화 3법’ 의 필요성 및 추진가능성,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전면 지원의 필요성 현황과 과제 / 최기원(정의당 장혜영 의원실 선임비서관) [토론4] 공공월경정책이 더 멀리 더 넓게 가려면 / 김새롬(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연구교수) [토론5] 일회용생리대의 독성 정보 제공 및 시민건강 보장 방안 /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10월 18일, 여성환경연대는 “일회용 생리대의 안전성과 가격 안정화 정책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 1,600명이 참여한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를 발표한 서정희 여성환경연대 활동가는 “생리대 가격이 비싸다는 응답이 80.6%이며 93.2%가 생리대 가격 안정화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생리대 사용시 불편사항을 묻는 질문에 30.3%는 ‘생리대 성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답하며 46%가 생리대 정보 제공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했다. 조사 결과, 시민들이 요구한 생리대 포장지에 표기되어야 할 정보로는 화학물질 독성정보(26.5%), 일회용 생리대 성분(21.9%), 유기농·친환경 마크와 함량에 대한 설명(20.9%) 등이 있었다.
토론을 맡은 조미순 더,초록 대표는 구로구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시행을 통한 학교 화장실 내 생리대 보관함을 설치 사례를 발표하며 “생리대 가격 부담을 겪어도 지원 대상이 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학교 밖 청소년 등을 고려해 구로구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는 개별 지급과 연령 확대가 필요하다”고 현행 제도의 보완점을 제안했다.
양지혜 청소년페미니스트네트워크 위티 활동가는 “실태조사를 통해 10대 여성은 월경 일수가 6~7일 이상인 경우가 53%로 평균 월경 일수인 5일보다 길다는 점을 알게 된 만큼, 여성청소년 생리대 지원사업의 지원금액을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청소년 월경 빈곤 해소를 위한 공적 인프라 확대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최기원 정의당 장혜영 의원실 선임비서관은 “생리대 시장은 시장점유율 3위 기업이 전체 75%를 점유하는 과점 시장으로 부가세 면제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생리대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시장 과점 해소와 부가세 면제 이상의 적극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고 시장 가격 안정화 방안와 청소년 전면지원 정책을 상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김새롬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교수는 “안전성에 대한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이 시장의 논리이더라도 월경용품은 필수재이기에 여성들은 가격 상승에 불만을 품어도 구매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생리대 관리 과정에 여성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월경용품을 포함한 의약외품 전반에 대한 시민참여제도 마련”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생리대에 사용되는 인공 향과 같은 화학물질이 생식기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 안전이 확인된 물질 또는 제품만 허용되도록 안전관리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오늘 토론회에서는 후속 대책으로 ▶생리대 가격 안정화 ▶공공생리대 확대 및 청소년 월경용품 전면지원 ▶안전관리 기준 강화 ▶부작용 경험 연구 ▶유기농·친환경 생리대 관리제도 마련 ▶정보 접근성 강화 등이 요구되었다.
[일회용 생리대의 안전성과 가격 안정화 정책을 위한 토론회]
생리대 가격 부담·안전에 대한 불안 여전해,
가격 안정화, 안전 정보 표기 요구
- 생리대 구매자 80.6% ”비싸다” ... 93.2%가 생리대 가격 안정화 요구해
- “생리대 가격 부담느낀 10대, ”보건실·화장실에 비치된 생리대 이용했다“ 28.9%
생리대 불편 1순위, ”생리대 성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30.3%
○ 일시 : 2023년 10월 18일 (수) 오후 2시
○ 장소 : 온라인, 줌
○ 내용 :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및 향후 과제 모색
○ 공동주최 : 여성환경연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프로그램 :
▶ 개회
[사회] 안현진 (여성환경연대 여성건강팀 팀장)
▶ 발표 및 질의응답
[발표]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및 분석 / 서정희(여성환경연대 여성건강팀 활동가)
▶ 토론
[좌장]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토론1] 구로구 여성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 정책과 과제 / 조미순(더,초록 대표)
[토론2] 시혜가 아닌 권리로서 청소년 월경권 톺아보기 / 양지혜(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활동가)
[토론3] ‘월경용품 가격안정화 3법’ 의 필요성 및 추진가능성,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전면 지원의 필요성 현황과 과제 / 최기원(정의당 장혜영 의원실 선임비서관)
[토론4] 공공월경정책이 더 멀리 더 넓게 가려면 / 김새롬(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연구교수)
[토론5] 일회용생리대의 독성 정보 제공 및 시민건강 보장 방안 /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10월 18일, 여성환경연대는 “일회용 생리대의 안전성과 가격 안정화 정책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 1,600명이 참여한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일회용 생리대 구매경험 실태조사를 발표한 서정희 여성환경연대 활동가는 “생리대 가격이 비싸다는 응답이 80.6%이며 93.2%가 생리대 가격 안정화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생리대 사용시 불편사항을 묻는 질문에 30.3%는 ‘생리대 성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답하며 46%가 생리대 정보 제공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했다. 조사 결과, 시민들이 요구한 생리대 포장지에 표기되어야 할 정보로는 화학물질 독성정보(26.5%), 일회용 생리대 성분(21.9%), 유기농·친환경 마크와 함량에 대한 설명(20.9%) 등이 있었다.
토론을 맡은 조미순 더,초록 대표는 구로구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시행을 통한 학교 화장실 내 생리대 보관함을 설치 사례를 발표하며 “생리대 가격 부담을 겪어도 지원 대상이 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학교 밖 청소년 등을 고려해 구로구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는 개별 지급과 연령 확대가 필요하다”고 현행 제도의 보완점을 제안했다.
양지혜 청소년페미니스트네트워크 위티 활동가는 “실태조사를 통해 10대 여성은 월경 일수가 6~7일 이상인 경우가 53%로 평균 월경 일수인 5일보다 길다는 점을 알게 된 만큼, 여성청소년 생리대 지원사업의 지원금액을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청소년 월경 빈곤 해소를 위한 공적 인프라 확대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최기원 정의당 장혜영 의원실 선임비서관은 “생리대 시장은 시장점유율 3위 기업이 전체 75%를 점유하는 과점 시장으로 부가세 면제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생리대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시장 과점 해소와 부가세 면제 이상의 적극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고 시장 가격 안정화 방안와 청소년 전면지원 정책을 상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김새롬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교수는 “안전성에 대한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이 시장의 논리이더라도 월경용품은 필수재이기에 여성들은 가격 상승에 불만을 품어도 구매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생리대 관리 과정에 여성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월경용품을 포함한 의약외품 전반에 대한 시민참여제도 마련”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생리대에 사용되는 인공 향과 같은 화학물질이 생식기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 안전이 확인된 물질 또는 제품만 허용되도록 안전관리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오늘 토론회에서는 후속 대책으로 ▶생리대 가격 안정화 ▶공공생리대 확대 및 청소년 월경용품 전면지원 ▶안전관리 기준 강화 ▶부작용 경험 연구 ▶유기농·친환경 생리대 관리제도 마련 ▶정보 접근성 강화 등이 요구되었다.